반응형
피그마 Auto Layout 기능 완전 정복 – 정렬, 간격, 반응형 디자인까지
피그마(Figma)의 Auto Layout은 UI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정렬하고, 반응형 구조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입니다. 복잡한 정렬 문제도 클릭 몇 번으로 해결할 수 있고, 개발자와 협업할 때 CSS 구조 이해도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. 이 글에서는 Auto Layout의 기초부터 고급 기능까지 단계별로 소개합니다.
1. Auto Layout이란?
Auto Layout은 요소 간 간격과 정렬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능으로, 다음과 같은 작업을 간단하게 만들어 줍니다:
- 버튼 안의 텍스트가 길어져도 자동 정렬
- 카드 레이아웃이 늘어나도 균형 유지
- 모바일/데스크탑 뷰 전환에 유연하게 대응
2. Auto Layout 적용 방법
- Step 1: 요소 또는 프레임 선택
- Step 2: 오른쪽 패널에서 ‘+ Auto Layout’ 클릭
- Step 3: 방향 설정 (가로 또는 세로), 정렬, 간격 지정
예: 버튼 텍스트와 아이콘을 함께 선택한 후 Auto Layout을 적용하면, 텍스트가 길어져도 자동으로 버튼 크기가 조정됩니다.
3. 기본 설정 이해하기
Auto Layout의 주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Direction: 가로(Horizontal), 세로(Vertical)
- Spacing Between Items: 요소 사이 간격 (px)
- Padding: 프레임 내부 여백
- Alignment: 왼쪽/중앙/오른쪽 정렬
- Resizing: Hug Contents, Fixed, Fill Container
4. 실전 예시 – 반응형 버튼 만들기
- 텍스트 요소를 입력 후 아이콘 추가
- 두 개를 그룹으로 묶고 Auto Layout 적용
- Padding을 16px, Spacing을 8px로 설정
- Resizing을 ‘Hug contents’로 지정
이렇게 구성하면 텍스트가 길어져도 버튼이 자동 확장되고, 좌우 여백이 유지된 상태로 디자인이 정렬됩니다.
5. 중첩된 Auto Layout 구조
Auto Layout은 다층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습니다:
- 예: 카드 하나(세로 Auto Layout) × 3개를 가로 Auto Layout에 넣기
- 이렇게 하면 반복되는 UI 패턴도 빠르게 적용 가능
- 반응형 구조에서도 각 요소가 유연하게 재배치
6. Auto Layout의 고급 활용법
- Wrap 옵션: 요소가 많을 경우 자동 줄바꿈
- Fixed vs. Hug vs. Fill 차이 이해: 크기 자동 조절 방식
- Instance 재사용: 컴포넌트를 Auto Layout 상태로 활용 가능
7. 마무리 – UI 디자인의 핵심 도구
Auto Layout 기능은 단순한 정렬 도구를 넘어, 유연한 반응형 UI 설계의 필수 요소입니다. 피그마를 활용하는 디자이너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기능이며, 특히 스타일 유지와 협업 효율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. 다음 디자인부터는 Auto Layout으로 시간을 절약해보세요!
반응형